티스토리 뷰

 

 

당근마켓에서는 다양한 물품이 거래되지만, 특히 "당근 상품권 사기"가 최근 크게 증가하고 있어요. 백화점 상품권, 구글 기프트카드, 모바일 쿠폰 등이 대표적인 거래 품목인데요. 하지만 상품권은 무형 상품이라 구매자가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기꾼들이 쉽게 접근하는 아이템입니다. 오늘은 당근 상품권 사기의 유형과 예방법, 그리고 사기를 당했을 때 신고하는 방법까지 확실하게 알려드릴게요!

 

 

1. 당근 상품권 사기의 대표적인 유형

✅ 1) 이미 사용된 상품권 판매

가장 흔한 당근 상품권 사기 유형으로, 사용이 끝난 상품권을 판매하는 경우입니다. 구매자는 코드 입력 후 사용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지만, 판매자는 이미 연락을 끊어버립니다.

✅ 2) 가짜 상품권 판매

실제 존재하지 않는 가짜 상품권을 판매하는 경우도 많아요. 특히 백화점 상품권이나 구글 기프트카드 같은 경우 포토샵으로 위조된 이미지를 보내고 입금을 받은 후 사라지는 수법을 씁니다.

✅ 3) 저렴한 가격으로 선입금 유도

"급하게 돈이 필요해서 싸게 팝니다!"라며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을 제시합니다. 하지만 입금 후에는 연락이 두절되죠.

✅ 4) 코드만 보내고 환불 거부

상품권을 코드로만 보내고, 구매자가 코드가 잘못되었다고 하면 "이미 보냈으니 환불 불가"라고 주장하는 방식입니다.

✅ 5) 중고 상품권 판매 후 추가 사용

상품권의 코드가 유효하다고 확인한 뒤 판매자가 나중에 다시 사용해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매자는 상품권을 사용하려고 하면 이미 사용된 상태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2. 당근 상품권 사기 예방법

  • 가급적 상품권 거래는 공식 플랫폼(기프티콘 거래소 등) 이용
  • 상품권 실물 거래 시 직거래 진행
  • 선입금 요구 시 거래 중단
  • 상품권 코드 거래는 믿을 만한 판매자만 이용
  • 더치트(TheCheat)에서 판매자 정보 조회
  • 상품권 코드가 확인된 후 입금 진행
  • 가능하면 사용 즉시 인증할 수 있는 방식 이용

3. 당근 상품권 사기 신고 방법

✅ 1) 당근마켓 고객센터 신고

당근마켓 내에서 사기 피해 신고가 가능합니다. 신고가 많아지면 해당 판매자는 플랫폼에서 제재를 받을 수 있어요.

신고 방법:

  • 당근마켓 앱 실행
  • 문제가 발생한 채팅방에서 '신고하기' 선택
  • 사기 피해 유형 선택 후 신고 접수

✅ 2) 경찰서 및 사이버수사국 신고

사기를 당했다면 즉시 경찰서에 신고하거나 사이버수사국에서 온라인 신고를 접수하세요.

필요한 증거 자료:

  • 판매자와의 채팅 내역 (스크린샷)
  • 입금 내역 (은행 거래내역 캡처)
  • 상품권 코드 또는 인증 불가한 상태 확인 자료

 

사이버수사국 바로가기

 

✅ 3) 금융기관에 계좌 지급 정지 요청

사기꾼 계좌를 금융감독원에 신고하여 추가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요청 방법:

  • 거래 은행 고객센터에 전화
  • 사기 피해 계좌 정보 제공
  • 계좌 지급 정지 신청 진행

4. 당근 상품권 사기 예방을 위한 추가 팁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다음 사항을 고려해 보세요.

  • 너무 저렴한 상품권은 피할 것
  • 판매자가 거래 후 바로 탈퇴하는 경우 주의
  • 의심스러운 경우 직접 사용할 수 있는 기프티콘 거래소 활용
  • 신뢰할 수 있는 구매자 또는 판매자와만 거래 진행

결론: 상품권 거래는 조심해서, 사기를 당했다면 즉시 신고!

상품권 거래는 실물이 없고 추적이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당근 상품권 사기를 예방하는 방법을 철저히 지키고, 피해를 입었다면 빠르게 신고하여 추가 피해를 막아야 합니다!